작성일 : 22-11-17 12:10
강물 위에 물안개(雲霧) 하얗게 뒤덮는 현상
|
|
글쓴이 :
西岳
![](../skin/board/basic/img/icon_view.gif) 조회 : 1,138
|
강물~ 호수 물위에 물안개 자욱하게
일어나는 6개 조건
1) 이른봄 또는 늦가을
2) 일교차 10~15°C 이상 큰 기온차
3) 밤사이 구름 없는 맑은 날씨
4) 바람 없고 풍속1m/s 이하
5) 지표면 공기層 안정
6) 아침햇빛으로 상승되기 前에 즉 이른 새벽에 발생
---
강물위 공기가 부분적 상대 습도 relative humidity 100% 이상일때 雲霧 발생한다.
과학적 : 공기속 수증기가 상대습도 100% 이상 높아지면서 saturation (飽和 응축)되어 dew 발생 된다. 즉 수증기가 기체상태 유지 못하고 이슬, 작은 물방울로 응축 변환된다.
그전의 투명한 ( H2O) vapour -> 작은 liquid drop으로 응축되어 하늘의 희미한 새벽빛 산란 빛을 공기속 물방울 표면에서 빛의 거울 반사 (全반사)시키는 하얀 물안개로 변한다
---
즉 전날 오후~ 저녁때 쯤에는 + 10°C 기온 높았을때는 상대 습도가 낮았으므로 지표면 또는 강물 수면 상에 즉 물표면상에서 vapourization 매우 활발하게 되면서 절대 습도가 높아진다.
Vapourization (증발 작용) 과 그 반대인 condensation (응축 작용)은
상대습도 (relative humidity) 값에 의하여 발생된다
그러다가 새벽녘에는 기온차로 기온이 delta T 가 약 -15°C 강하 낮아진다.
오늘 새벽 기온이 갑자기 낮아지면, 바람 없어서 (바람이 없는 날 새벽에) 停滯되어 있는 지표면 공기層 속에 relative humidity 당초 약 80% ~90% 가
새벽녁 氣溫降下 때문에 갑자기 상대습도 약 120%~ 140% 높아진다
즉 상대습도 100% 이상 조건으로 변하게 되면, 공기층 속에 습기(vapour)가 過飽和되어 수증기가 응축(condensation) 되면서, 이슬 물 방울들이 공기층 속에서 저절로 맺혀, 자욱한 하얀 물안개 발생한다.
즉 물안개(fog), 雲霧, 이슬(dew), 서리(frost), 상고대 들이 발생하는 자연현상의 원리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