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PW ] [Log-in] [Log-out][회원신규가입] [GNU처음]
[글목록][글쓰기][사진게시판가기][카페3021][홈가기]
 
작성일 : 14-12-08 13:16
풍수지리에 대한 변설
 글쓴이 : 海印
조회 : 310  


국내 한모씨가 기록한 풍수지리 관련 글이 그래도 다소 일반인에게 수긍이 갈 수 있는 내용이라서 일부를 퍼 와서 올린다. 관심이 있든가 심심한 사람은 읽고 아니면 안 읽으면 된다.

풍수지리학문이라 바로, 땅을 살아 있는 생명으로 대하는 전통적 지리과학.만물이 기(氣)로 이루어졌다고 보아 만물 중의 하나인 땅도 지기(地氣)로 이루어진 것으로 본다. 지기에 대해 음양과 오행, 그리고 주역의 논리로 체계화한 것이 풍수지리이다.

특히 우리나라에 있어 서양의 지리(geography)가 지리의 영역을 차지하기 이전까지의 진정한 전통지리는 풍수지리였다. 19세기까지 실학자들의 지리관과 동학과 같은 개벽사상의 밑바탕이 되었으나 일제에 의해 미신으로 격하되었으며, 이러한 외세에 의해 왜곡된 풍수지리가 제모습을 찾기 전에 다시 서양의 지리에 의해 묻혀졌으며, 풍수지리는 풍수라는 봉건시대의 퇴물 정도로 버려지게 되었다.

풍수지리는 인간이 일찍부터 자연 속에서 삶을 영위하기 위해 터득된 지혜에 근본을 두고 있다. 특히 농경을 시작한 후부터 작물의 재배와 성장에 관계되는 땅의 성격과 분포의 차이를 기의 차이로 이해하면서 풍수지리는 이론적 토대를 이루게 되었다. 여기에 춘추전국시대 이후 기의 변화와 동정을 음양으로 파악하는 음양가의 성장이 인간의 개별 경험적 수준에 머물던 기에 대한 인식을 학문의 차원으로까지 끌어올렸으며, 이후부터 풍수지리서가 제작되기 시작했다. 이들은 비·눈·바람 등의 기후현상, 토양, 수분, 지형, 생태계내의 물질순환 등 모든 자연현상을 기의 작용으로 파악했다.

현존하는 풍수지리서 중에서 최고(最古)의 것으로는 동진(東晉)의 곽박(郭璞)이 지은 〈금양경 錦襄經〉이다. 한반도에서도 일찍부터 땅에 대한 기의 인식이 발달했으나 이론적으로 체계화하여 학문으로 성장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땅에 대한 독자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삼국시대 이후 중국으로부터 풍수지리가 전래된 후 중국과는 다른 우리식의 풍수지리를 발전시켰다. 특히 고려시대에는 우리의 독자적 풍수서가 저작되기도 했다.

통일신라시대 구산선문(九山禪門) 가운데 동외산선문(桐畏山禪門)의 도선(道詵)이라는 선승에 의해 한반도 풍수지리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다. 도선에게서 가장 주목되는 것은 비보사상(裨補思想)으로서 중국과 다른 한반도 풍수지리의 특성이다. 즉 주어진 땅의 지기에 의지에서 살 뿐만 아니라 나무를 심거나 가산(假山)을 만들고 사찰과 탑 등의 입지를 통해 적극적으로 땅의 지기를 인간의 삶과 조화되도록 하는 것이 비보로서 한반도 풍수지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고려시대에는 비보문제를 전담하는 산천비보도감(山川裨補都監)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이러한 비보와 같은 땅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는 고려시대 풍수지리에서 지기쇠왕과 그에 따른 국도의 천도문제를 제기하는 토대가 되기도 했다.

조선시대의 풍수지리는 한양에 도읍을 정하면서 시작되었다. 고려의 도읍인 개성을 벗어나기 위해 계룡산·모악산 등과의 비교를 통해 결국 한양이 도읍지로 선정되었다. 태조 이성계가 건국 후에 새로운 도읍 선택에 골몰한 것은 고려시대에 문종·숙종·예종·공민왕 등이 모두 풍수지리 논리를 고려의 개혁에 이용하려 했던 전통을 이은 것이라 볼 수 있다.

태조는 왕조의 정통성 문제를 민중들의 사고 속에 깊이 뿌리내린 풍수지리를 이용해 정면돌파한 것이다. 즉 지기가 왕성한 한양에 새로운 나라를 세워 도탄에 빠진 백성들에게 앞날에 대한 기대를 심어주어 신생왕조의 안정을 도모하려 한 것이다. 그러나 성종 이후 문물이 안정되면서 개혁적 풍수지리의 사상성은 점차 몰락하고 좋은 터를 골라 가문과 개인의 부와 권력을 탐하는 수단으로 풍수지리를 이용함으로써 풍수지리는 이기적인 터잡기 잡술로 여겨지게 되었다. 타락한 풍수지리를 비판하고 건강한 지리관을 회복하기 위한 노력이 실학자들에 의해 제기되었으나 외세의 침략으로 결실을 맺지 못한 채 풍수지리는 오늘날에도 저속한 옛 관습을 깨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풍수지리는 기본적으로 지기로서 이루어진 살아 있는 땅에 인간이 어떻게 잘 조화해서 살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땅은 좋고 나쁜 것이 없고 스스로 그러한 모양으로 존재하고 있다. 여기에 인간이 조화해서 살아야 한다. 인간이 조화하기 어려운 땅이 인간의 눈에는 좋지 못한 땅으로 보일 뿐이다. 자연 그 자체로서는 선악의 판단에 구애되지 않는 것이다. 땅과 조화할 수 있는 기반은 인간이 땅의 기를 느껴서 자신과 잘 맞는 장소를 선택하는 것이다.

그런데 인간은 문명을 만듦으로써 점차 자연과 멀어졌고 이에 따라 인간의 본능적인 능력으로서의 기감(氣感) 능력은 상실되었다. 기감이 상실된다면 풍수지리의 이론체계는 쓸모가 없다.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이론이 만들어졌다. 직접 땅의 기를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땅의 여러 가지 단서들을 가지고 직접적으로 지기를 파악하려는 모든 노력이 풍수지리의 이론을 형성하고 있다.

결국 학교에 다닐 때, 개인적으로 사회와 지리과목을 좋아했다. 그때부터 원초적인 관심이 많았던 것이 바로 풍수지리 방면이었다. 오늘도 글 정리를 하면서 관련 내용을 간추려서 올린다. 한마디로 축약하자면 이렇다. 즉, 풍수지리도 인간의 유익한 터전에서 좀더 오랜 기간 동안 발복을 받자는 인간의지가 뭉쳐져서 학문화 되었다. 무릇 인연이 있는 자는 그 이익을 취할 것이요, 아닌 자는 그냥 지나갈 뿐이다.

海印.


와이리 14-12-08 13:57
답변  
좋은 요약이다.
背山臨水이고 좌청룡우백호이며 앞에 안산이 있으면 좋은 땅이다.
결국
집 뒤에 바람막이가 있고 앞에는 강물이 흐르고
햇볕 잘들고 바람 잘 통하는 곳이니.... 살기 좋은 곳임에 틀림없으렸다.

우리네 옛 마을터들 대부분이 그랬던 곳이기도 하고.....
최세영 14-12-08 15:17
답변  
주머니에 신사임당 지페는 뽈록하고
물 기똥차게 맑은 강가에 돗자리 편체
천하일품 안주와 술을 널부러 놓고
강아지와 술잔 주거니 받거니 하다
강아지 배 베고 누우니 우주가 다 내것이요
햇볕 잘들고 바람 잘 통하니
스르르 잠이 오던 그곳이 명당이로다.
에헴
沼岩 14-12-08 17:48
답변  
산소 쓸려고 땅을 사려고 온 사람이,
부동산 중개하는 사람에게 ,
"아저씨요 우리는 명당도 필요없고,
차 들어가고 햇살 따뜻한 곳만 소개해주소..."하니,
업자가
"보소 그기 명당이요" 하더란다.

옛날 해인이 살던 곳에서 토함산쪽 오르면
코오롱호텔 옆쪽 탑마을이다.
그 위쪽에 친구네 장례에 가서 들었던 이야기...

어려운 집 가장이 한겨울에 죽어서 탑마을 위 공동묘지같은곳에
산소를 쓰려고 땅을 파니,
땅이 얼어서 팔수가 없었고, 불을 지펴도 안되고...
누군가가 저 위에 옛날 우리 나무해서 오다가 쉬던곳,
거기 따뜻하니 안얼었을지도 모른다고해서
그곳을 파니 얼지않아서 거기에 매장을 했는데,
몇년 사이에 저절로 돈되는 일이 자꾸 생겨서
부자가 되었다는 이야기 들었다.

등산가거든 따뜻한곳 있나 잘 보고 다니소.
海印 14-12-08 17:54
답변 삭제  
시쳇말로 <좌 뻐스, 우 택시> 터가 명당이다. 그말이렸다.

그기 아니고, 그 자리(그 뒤에 일본에 가서 큰 돈을 벌어서 밭을 사서 조상 산소를 왕릉과 같이 꾸민 바로 입수 부분이다.) 내도 잘 아는 데,  당대 밖에 못 가는 "소 명당"인데, 돈밖에 없고, 그것도 반갑이 지나면 새버리는(바로 전순이 가파르고 급한 도랑물이 흘러간다. 장마철에는 강물같이 넘친다.) 곳이기 때문이다. 즉, 꼭 그 장소라서 명당 발복한 것이 아니다란 야그가 맞다.

명당론에서 가장 우선시 하는 것은 바로, <조상님 숭모정신>일 뿐이다. 이하 생략한다. 말하자면 길어지기 때문이다.

海印.
 
   
 

[글목록][사진게시판][카페3021][홈가기]